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무원이 되려면 이것은 알아야 합니다.

by 아레오 2025. 4. 28.
반응형

한국에서 공무원이 되는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1. 공무원 종류 선택

  • 국가직: 중앙 정부 소속 (예: 행정안전부, 국세청 등)
  • 지방직: 지방자치단체 소속 (예: 시청, 구청, 도청 등)
  • 교육청 소속: 시·도 교육청 산하 기관
  • 특수직 공무원: 외교관, 경찰, 소방, 군무원 등 전문 분야

→ 어떤 직렬(직업 분야) (예: 행정, 교육, 토목, 전산, 기계 등)과 직급(9급, 7급, 5급 등)을 목표로 할지 결정합니다.


2. 시험 종류 파악

공무원 시험은 보통 세 가지입니다.

  • 9급 공무원 시험: 고등학교 졸업 수준
  • 7급 공무원 시험: 대학교 교양 수준
  • 5급 공채(고위직): 행정고시, 기술고시 – 매우 높은 경쟁률, 대학교 전공 수준 이상

경력경쟁채용(특정 자격증, 경력 보유자 대상) 방식도 있음.


3. 시험 준비

시험은 보통 다음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 9급: 국어, 영어, 한국사, 행정법총론, 행정학개론 등 (직렬마다 다름)
  • 7급: 헌법, 경제학, 행정법, 행정학, 영어, 한국사 등
  • 5급: PSAT(언어논리·자료해석·상황판단) + 논술 + 면접

준비 방법:

  • 독학
  • 공무원 전문 학원 수강
  • 인터넷 강의(인강) 수강
  • 스터디 그룹 참여

4. 시험 응시

  • 원서 접수: 사이버국가고시센터(http://www.gosi.go.kr)나 지방자치단체 채용 사이트를 통해 접수
  • 필기시험 응시
  • 면접시험 응시 (필기 합격 후)

5. 최종 합격 후 임용

  • 최종 합격자는 수습 기간을 거친 후 정규 공무원으로 임용됩니다.
  • 보통 수습 기간은 6개월~1년 정도입니다.

6. 필요한 자격요건

  • 기본 요건: 만 18세 이상(직급별 다름), 한국 국적
  • 학력: 9급은 학력제한 없음 (특정 직렬 제외)
  • 병역: 남성은 병역 문제 없어야 함
  • 결격 사유: 금고 이상 형사처벌 등 특정 사유가 있으면 응시 불가

간단히 요약하면

"공무원 시험 과목을 정하고 → 공부해서 → 시험 보고 → 면접 보고 → 최종 합격하면" 공무원이 됩니다.


추가로, 요즘은 경력경쟁채용(특정 자격증 소지자 대상), 지역인재 채용, 장애인·저소득층 특별채용 같은 다양한 채용 경로도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