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

부모안심, 보건복지 예산 속 2024년도 보육정책들 2024년 예산안은 부모급여의 영유아보육 예산 초과, 가정양육자 대상 시간제 돌봄 확대, 민간 어린이집 운영 인센티브 보조, 보육 인프라 사업의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이관은 모두 공공 보육의 축소와 가정 양육의 장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육예산은 7조 6,400억 원으로 2023년 본예산보다 14.4% 증가한 규모로 주목할 점은 현금 급여인 부모 급여가 서비스 급여인 영유아보육료 지원 총예산을 초과했다는 것입니다. 보건복지부의 보육지원 강화 예산 규모별 세부사업은 부모급여 2조 8887억 원, 영유아보육료 지원 2조 6731억 원, 보육교직원 인건비 및 운영지원 1조 8691억 원, 가정양육수당 지원사업 1,081억 원, 어린이집 확충 417억 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육지원강화 사업 중 어린이집 .. 2024. 1. 14.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대기질 개선을 향한 정부의 노력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이 정책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대기조건에 맞추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입니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도입 배경 대기질 문제의 심각성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질 저하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계절적인 특성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변동하는 실정에서 대응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정부는 계절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미세먼지 발생을 최소화하고 대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화된 정책을 도입하고자 합니다. 계절별 대응 전략 공기정화기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보조금 지원 봄철에는 꽃가루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대기질이 악화될.. 2024. 1. 14.
정부, 청년 국민 주거안정 강화 방안, 청년 내집 마련 1․2․3 발표 정부, 청년 주거안정 강화방안 발표 그간 정부는 국민 주거안정을 위해 전월세 부담 경감, 공공주택 공급, 전세사기 피해지원 등 다양한 주거지원 정책 마련하여 취약계층 등을 위한 주거복지 지원도 꾸준히 강화하고 있지만 세대별로 처한 상황에 따라 주거불안은 여전히 지속되는 측면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특히, 청년층의 자가보유 의사는 2017년 70.7%에서 2021년 81.4%로 늘고 있으나, 자산형성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년층의 자가 보유율은 21.1%에서 13.8%로 오히려 감소하여 청년층 76.3%가 소득만으로 내집 마련이 가능하지 않다고 인식하여 중장년층-청년층 간 평균 순자산 차이 2018년 1억8천5백만원엣 2022년 2억3천3백만원으로 세대 간 자산격차는 더욱 확대되고, 내집 마련에 대한 불.. 2024. 1. 14.
반응형